본문 바로가기

Project Management7

설계 변경 프로세스 (ECR-ECO-ECN) 설계변경 관리의 중요성설계변경 관리는 제품 개발 및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변경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핵심 프로세스입니다. 효과적인 설계변경 관리는 품질 향상, 비용 절감, 일정 준수, 그리고 리스크 최소화를 통해 기업 경쟁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표준 설계변경 프로세스 (ECR-ECO-ECN)크게 ECR(Engineerring Change Request) -> ECO(Engineering Change Order) -> ECN(Engineering Change Notice)로 이어지는 설계변경 프로세스는 다쏘시스템, 오토데스크, PTC 등 주요 PLM 솔루션 업체들이 공통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OOTB(Out-Of-The-Box) 프로세스 구조입니다. 1단계: ECR (Engineering.. 2025. 8. 21.
PMP vs PRINCE2 - 프로젝트 관리 자격증 선택, 비교 분석 프로젝트 관리자로 커리어를 쌓아가다보면 반드시 마주치게 되는 고민이 있는데요. "PMP를 딸까, PRINCE2를 딸까?" 둘 모두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자격증이라는 건 알겠는데, 정작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명확하게 알기는 쉽지 않습니다.두 자격증을 실전 경험을 바탕으로 비교해보고, 각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PMP와 PRINCE2, 기본부터 알아보자PMP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운영 주쳬: PMI (Project Management Institue, 미국)특징: "왜 이렇게 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춘 지식 중심 접근강점: 실무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유연한 프로젝트 관리PRINCE2 (Projects IN Controlle.. 2025. 8. 12.
6가지 제조, 생산 방식 완벽 가이드 - MTS, ATO, BTO, ETO, MTO, CTO 일상에서 사용하는 모든 제품은 어떤 방식으로든 생산되어 소비자에게 도달하게 됩니다. 편의점에서 즉시 살 수 있는 식료품들, 주문 후 몇 주를 기다려야 하는 맞춤가구, 수개월이 걸리는 자동차 주문 등 이러한 각 제품들에는 각기 다른 생산 방식이 있습니다. 제조업에서는 제품의 특성, 고객의 요구, 시장 상황에 맞춰 최적의 생산 방식을 선택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제조업의 6가지 핵심 생산 방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각 생산 방식에 대한 특성을 표로 비교하고 각 생산 방식에 대한 세부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핵심 특성 비교표 생산방식리드타임맞춤화재고부담단가적용분야MTS★★★★★★★★★★★★대량소비재ATO★★★★★★★★★★★★★★조립제품BTO★★★★★★★★★★★★★★★맞춤제품ETO★★★★★★★★.. 2025. 7. 16.
제품 개발의 4가지 핵심 전략 - NPI, CIP, A&D, ETO 제품 개발은 기업의 성장과 경쟁력 확보에 있어 가장 중요한 활동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어떤 전략을 선택하는지에 따라서 성공 여부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제품 개발 시 널리 활용되는 4가지 핵심 전략인 NPI, CIP, A&D, ETO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각각의 특징과 적용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왜 제품 개발 전략이 중요한가?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 제품 개발은 단순히 '좋은 아이디어'만으로는 성공하기 어렵습니다. 시장의 변화 속도가 빨라지고, 고객의 요구사항이 다양해지면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각 전략은 서로 다른 상황과 목표에 최적화되어 있어, 기업의 현재 상황과 목표를 정확히 파악한 후 적절한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입니다.1. NPI (N.. 2025. 7. 14.
Business Analyst와 Functional Consultant의 차이 ↑ Functional Consultant vs Business Analyst같은 듯 다른 두 전문가, 무엇이 다를까?ERP, CRM, PLM 같은 시스템 프로젝트를 수행하다 보면 꼭 등장하는 두 직무가 있습니다. 바로 Functional Consultant(FC)와 Business Analyst(BA)입니다. 둘 다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는 역할이지만, 실제 업무 영역에는 명확한 차이가 존재합니다.이번에는 이 두 역할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보며, 각 직무의 특성과 커리어 방향까지 짚어보겠습니다.📌 목차🛞 1. 역할의 초점🧩 2. 기술 및 도구 활용🛠️ 3. 관여 범위와 전문성✅ 4. 쉽게 구분하는 핵심 요약🏁 마무리하며🛞 1. 역할의 초점 Functional Co.. 2025. 5. 22.
기능 컨설턴트 (Functional Consultant, FC) 직무 소개, 역량, 커리어 패스 Functional Consultant란?비즈니스와 IT를 연결하는 디지털 시대의 핵심 전문가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지금, 기업들은 ERP, CRM, PLM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을 도입하며 업무 효율성과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이 과정에서 **Functional Consultant(기능 컨설턴트)**는 단순한 중간 조율자가 아닌,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기술적으로 해석하고 최적화된 시스템 구축을 이끄는 핵심 전문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Functional Consultant의 실제 역할과 필요한 역량, 그리고 커리어 패스까지 상세히 소개합니다. 이 직무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끝까지 읽어보세요!↑ 📌 목차🛞 Functional Consultant의 역할과 주요 업무🔑 어떤 .. 2025. 5.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