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DM4

PLM - ERP 통합 전략과 데이터 흐름, 일관성까지 한눈에 보기 ↑ 제품 하나가 고객의 손에 닿기까지는 꽤 긴 여정이 필요합니다. 아이디어가 설계로 이어지고, 설계가 생산으로 이어지며, 생산된 제품이 유통과 서비스를 거쳐 완전한 ‘제품 경험’으로 마무리되죠. 이 모든 과정을 IT 시스템이 뒷받침하는데, 핵심 역할을 하는 두 축이 바로 PLM과 ERP입니다.그런데, 이 둘이 따로 논다면?설계 변경이 생산에 반영되지 않거나, 자재를 잘못 발주하는 일이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두 시스템의 차이점부터 시작해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통합하고, 데이터의 흐름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하나의 흐름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1. PLM vs ERP 역할부터 다르다2. 왜 함께 움직여야 할까?3. PLM과 ERP, 어떻게 통합할까?4. 데이터 일관성 유지5. 마무리하.. 2025. 5. 12.
리비전? 아니면 신규 부품? Form·Fit·Function으로 구분하는 리비전 관리 ↑ PLM, PDM, BOM에서의 리비전 관리: Form, Fit, Function 기준으로 체계화하기제품 설계나 조립 구조가 점점 복잡해지는 오늘날, 사소해 보이는 부품 변경 하나가 생산, 품질, 공급망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런 설계 변경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기록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리비전 관리(Revision Management)**입니다. 특히 PLM, PDM, BOM에서의 리비전은 조직 전체의 변경 관리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목차1. 리비전이란 무엇인가?2. Form, Fit Function의 정의와 리비전 기준3. PLM과 PDM에서의 리비전 관리4. BOM (Bill of Materials)에서의 리비전 관리5. 리비전 관리 시 고려해야 할 실무 포.. 2025. 5. 10.
데이터 관리부터 확장성까지, PDM과 PLM의 차이점 제품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PDM (Product Data Management)과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이 있습니다. 두 시스템은 비슷해 보이지만, 관리 범위와 기능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PDM과 PLM의 차이점을 알아보려 합니다.먼저 PDM과 PLM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PDM vs PLMPDM (Product Data Management) : 데이터 중심 관리PDM은 제품과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둔 시스템입니다. 설계 파일, 도면, 문서 등의 저장, 버전 관리, 접근 제어가 주된 기능입니다.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 제품 생애 주.. 2024. 11. 28.
PLM(PDM) 과 ERP의 간단한 정의와 연계 제조업의 제품 생산 및 관리 System 중 크게 ERP와 PLM이 있습니다.ERP는 많이 들어보고 접해보셨을 것으로 예상되나, PLM은 약간 생소하신 분들도 계실겁니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이미 PLM 활용도가 굉장히 고도화 되어 있으며, 반도체 산업의 경우도 PLM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증가 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최근 국책사업으로 많이 추진되고 있는 Smart Factory의 일환으로 PLM을 구축하는 회사들도 늘어나고 있죠. 본 포스팅에서는 PLM의 정의와 ERP와의 연계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1. PLM(PDM)과 ERP의 간단한 정의PLM : Product Life Cycle Management, 제품수명주기관리 - 기업에서 생산하게 되는 제품의 기획, 개발, 설계, 데모, 시제품의 단계를 .. 2020.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