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LM

데이터 관리부터 확장성까지, PDM과 PLM의 차이점

by Brayden 2024. 11. 28.

제품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PDM (Product Data Management)과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이 있습니다. 두 시스템은 비슷해 보이지만, 관리 범위와 기능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PDM과 PLM의 차이점을 알아보려 합니다.
먼저 PDM과 PLM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DM vs PLM

PDM (Product Data Management) : 데이터 중심 관리
PDM은 제품과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둔 시스템입니다. 설계 파일, 도면, 문서 등의 저장, 버전 관리, 접근 제어가 주된 기능입니다.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 제품 생애 주기 관리
PLM은 제품의 기획부터 폐기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포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데이터뿐 아니라 프로세스와 협업 관리까지 포함됩니다. 


다음은 PDM과 PLM의 각 주요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PDM의 주요 특징

PDM은 데이터 관리에 집중하는 시스템으로 설계 부서에서 사용하는 CAD 파일, 도면, BOM 등 제품 데이터를 중앙화하여 관리합니다. 따라서, 제품 설계와 관련된 부서/팀이 주요 사용자가 될 수 있습니다. PDM의 장점은 PLM에 대비하여 도입이 쉽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또한 설계 데이터를 간편하지만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단점으로는 프로세스 관리 기능이 제한적이며, 다른 모듈로의 확장성이 부족합니다.

PLM의 주요 특징

PLM은 설계 부서뿐 아니라 제조, 마케팅, 서비스 등 모든 부서를 연결하여 전사적 관점의 관리가 가능합니다.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하고, 변경 관리, 협업 기능을 제공하여 ERP, CRM, MES, MRP 등 다양한 시스템과 연계가 가능하며, 확장성과 통합성에 있어 PDM보다 우수합니다. PLM은 전사적인 데이터 및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용이하며, 장기적 관점에서의 ROI가 높습니다. 다만 도입 이전 사내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상세 분석과 사용 중인 다른 시스템과의 연계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복잡한 도입과정과 높은 초기 비용이 듭니다.


두 시스템 간 차이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 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구분PDM (Product Data Management)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초점- 설계 및 제품 데이터를 중앙에서 관리- 제품의 전 생애 주기(기획, 설계, 제조, 유통, 폐기)를 관리
주요 기능- CAD 파일 저장 및 버전 관리
- BOM 생성 및 데이터 보안
- 데이터 버전 관리 및 설계 변경 이력 추적
- 사용자 별 권한 설정
- 제품 기획, 설계, 제조, 서비스까지 모든 단계 통합
- EC, 변경 관리 및 승인 프로세스
- 워크플로우 자동화
- 협업 도구 제공 및 통합 관리
적용 범위- 설계팀과 엔지니어링 부서 중심-전사적(설계, 제조, 구매, 마케팅, 서비스 등 모든 부서 포함)
통합 가능성- 제한적인 시스템 통합 가능
- 주로 CAD 소프트웨어 및 일부 ERP 연계
- ERP, CRM, MES, MRP 등 다양한 시스템과 완벽히 통합 가능
- 데이터와 프로세스 연결을 통해 효율성 증대
확장성- 설계 데이터와 BOM 관리에 초점
- 데이터 관리가 주된 목적이라 확장성이 낮음
- 기업의 성장과 함께 기능 추가 가능
- 신제품 개발, 아이디어 관리,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최적화, 제품/사양 관리, 서비스 개선 등 장기적 확장성 제공
도입 비용- 초기 비용이 낮고, 구현 속도가 빠름- 초기 비용이 높고, 복잡한 도입 과정 필요
주요 사용자- 설계
- 엔지니어링
- 모든 부서(설계, 제조, 마케팅, 품질, 서비스 등)
- 전사적 협업 가능
도입 기간- 단기(수주에서 몇 주, 몇 달 내로 가능)- 중장기(몇 달에서 1년 이상 소요)
장점- 설계 데이터 체계화
- 빠른 도입과 저비용
- 제품 생애 주기 전반 관리
- 협업과 데이터 통합으로 생산성 향상
- 워크플로우 자동화로 시간과 비용 절감
- 시스템 통합
단점- 설계 데이터 관리 외 프로세스 관리 기능 제한적
- 확장성과 통합성 부족
- 초기 비용이 높고 도입이 복잡
-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업무 효율 차이 발생
- 모든 기능 활용까지 시간 소요

비즈니스에 따른 시스템 도입

  • 소규모 기업 또는 설계 중심 기업

 - 추천 시스템 : PDM / 설계 데이터 관리만으로도 활용성이 충분하며, 초기 비용과 유지비용이 적으므로, PLM 보다 PDM이 적합

  • 대규모 기업 또는 전사적 관리가 필요한 경우

 - 추천 시스템 : PLM /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전사적 통합이 필요하며, 다양한 팀 간 협업과 효율적인 워크플로우 관리를 위해 PLM이 적합

  • 장기적 투자 대비 효과를 고려하는 경우

- 추천 시스템 : PLM / 초기 비용은 높을 수 있으나, 장기적 관점에서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ROI 향상이 가능합니다.


PDM과 PLM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자사에 맞는 적절한 시스템을 선택하여 제품 개발 효율성을 높이고, 데이터 관리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도입 전에 충분한 검토와 비교를 통해 최적의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