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

QTY, EA, PCS, PK: 물품, 품목 단위의 이해 안녕하세요.재고 관리, 주문서 작성, BOM 작성 등에서 흔히 보이는 약어 QTY, EA, PCS, PK는 물품의 수량과 단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표기법입니다. 이 글에서는 각 용어의 의미와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갖고자 합니다.1. QTY (Quantity)  - QTY는 'Quantity(수량)'의 약자로, 물품의 총 개수나 양을 의미합니다. 특정 단위를 제한하지 않고, 물품의 총합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사용 예시QTY: 5 → 5개의 물품.QTY: 10 Boxes → 박스 10개의 총 수량.QTY는 수량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단위로, 상세 단위(EA, PCS 등)와 함께 자주 사용됩니다.2. EA (Each)  - EA는 'Each(개별/개)'를 의미하며, 물품 하나하나를 세.. 2025. 4. 2.
데이터 관리부터 확장성까지, PDM과 PLM의 차이점 제품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PDM (Product Data Management)과 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이 있습니다. 두 시스템은 비슷해 보이지만, 관리 범위와 기능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PDM과 PLM의 차이점을 알아보려 합니다.먼저 PDM과 PLM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PDM vs PLMPDM (Product Data Management) : 데이터 중심 관리PDM은 제품과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둔 시스템입니다. 설계 파일, 도면, 문서 등의 저장, 버전 관리, 접근 제어가 주된 기능입니다.PLM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 제품 생애 주.. 2024. 11. 28.
BOM(Bill of Material)의 구분 및 종류 - 2. BOM의 용도에 따른 구분 (직무, 공정 관련) BOM의 Level 구조에 따른 구분에 이어 용도에 따른 구분을 확인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10/21 - [PLM] - BOM(Bill of Material)의 구분 및 종류 - 1. BOM의 Level 구조에 따른 구분 BOM(Bill of Material)의 구분 및 종류 - 1. BOM의 Level 구조에 따른 구분 이전 글에서 BOM의 구성요소와 BOM 작성 시 포함되어야하는 항목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20/10/08 - [PLM] - EBOM(Engineering BOM), MBOM(Manufacturing BOM), Spare Part BOM EBOM(Engineering BOM), MBO.. brayden-world.tistory.com 2020/10/08 - [PLM] .. 2020. 11. 9.
BOM(Bill of Material)의 구분 및 종류 - 1. BOM의 Level 구조에 따른 구분 이전 글에서 BOM의 구성요소와 BOM 작성 시 포함되어야하는 항목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020/10/08 - [PLM] - EBOM(Engineering BOM), MBOM(Manufacturing BOM), Spare Part BOM EBOM(Engineering BOM), MBOM(Manufacturing BOM), Spare Part BOM BOM(Bill of Material)이란 단순히 자재 리스트의 나열이 아니라, 제품이 생산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BOM의 활용 주체 (설계 EBOM, 생산 MBOM, A/S 등)와 BOM의 형태(Single BOM, Super BOM, Mo.. brayden-world.tistory.com 2020/10/15 - [PLM] - BOM.. 2020. 10. 21.